티스토리 뷰
목차
목차
생존율 0% 우주공간 <그래비티> 줄거리
'누구도 경험하지 못한 진짜 재난'이라는 홍보 카피와 함께 등장부터 시선을 사로잡는 영화. <그래비티>는 알폰소 쿠아론 감독이 연출한 우주 배경 스릴러 영화다. 산드라 블록, 조지 클루니가 주연을 맡은 2013년 작품으로, NASA 우주 정비사 라이언이 우주 정비 작업 도중 겪게 되는 우주적 재난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허블 망원경의 통신 패널을 수리하는 라이언 스톤(산드라 블록), 우주 왕복선 조종사 맷 코왈스키(조지 클루니), 항공 엔지니어 샤리프(팔두트 샤르마) 세 사람을 비추며 영화는 시작된다. 하지만 갑자기 인공위성의 폐기물이 그들을 덮치면서 미 우주 정거장은 삽시간에 파괴되고 만다. 그 순간 우주선에서 분리되어 튕겨져 나간 라이언은 방향감각을 상실한 채 패닉에 빠진다. 주변으로 보이는 것이라고는 거대한 암흑뿐. 공포에 질린 그녀에게 희미하게 코왈스키의 목소리가 들려온다. 다행히 코왈스키와의 접선에 성공하는 라이언. 하지만 다른 동료들은 이미 모두 사망한 상태다. 살아남은 둘은 중국 우주정거장 톈궁에 있는 탈출용 우주선을 사용하기로 한다. 하지만 이동 도중 라이언이 위험에 처하자 코왈스키도 그녀를 대신해 죽음을 선택한다. 여기서 실제로 코왈스키가 죽는 모습은 나오지 않는다. 다만 산소가 얼마 남지 않은 상태에서 우주 멀리 사라졌으니 당연한 결과. 그렇게 홀로 남아버린 라이언. 지구와의 통신도 완전히 끊긴 상황에서 지구로 귀환하기 위한 그녀의 외로운 싸움이 시작된다.
아카데미 시상식 7관왕의 쾌거, 해외반응
처음 극장에서 보았을 때 91분이라는 러닝 타임이 언제 지나갔는지 모를 정도로 긴박감이 넘쳤다. 끝없는 암흑만이 존재하는 우주 한가운데 나 홀로 남겨진 아찔한 상황. 생존율이 0%에 수렴하는 악몽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주인공의 사투와 공포를 고스란히 느낄 수 있었다. 같은 우주 재난 영화인 <마션>이 차라리 나은 상황이랄까. <마션>은 그래도 주인공이 화성 안에 있었지만, 이건 말 그대로 우주 공간에 나 홀로니 말이다. 국내외 평론가들로부터도 만점에 가까운 점수와 함께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다. 2014년 86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는 감독상, 작품상, 여우주연상 등 총 10개 부문에 노미네이트 되었다. 그리고 그중 감독, 촬영, 편집, 음악, 음향, 음향효과, 시각효과 등 총 7개 부문을 수상했다. 대단한 기록이다. SF영화 중 아카데미에서 이렇게 많이 수상한 것은 이례적이다. 심지어 감독상까지 수상한 건 최초라고 한다. 하지만 모두 너무 납득이 되는 결과다. 광활한 우주에서 혼자가 된다는 느낌을 너무 잘 묘사했다. 한 신을 오랜 시간 촬영하는 롱테이크 기법과 1인칭 카메라를 주로 활용해서, 주인공 바로 옆에서 사건을 보고 있는 듯한 착각이 들 정도다. 특히 영화 초반, 사방에서 우주 쓰레기와 파편이 날아와 우주 정거장을 박살 내는 장면은 가히 압도적이다. 몇몇 장면은 눈을 질끈 감고 보아야 할 정도로 강렬한 3D 입체 효과를 보여준다. 우주라는 공간 안에서 보여줄 수 있는 가장 큰 시각적 충격이라는 생각이다.
광활한 우주에 나 홀로, 영화 리뷰
물론 영화에 호평만 있는 것은 아니다. 전형적인 재난영화의 플롯을 따라간다는 일부 비판도 있다. 평온한 일상에, 갑자기 재난 상황이 발생하고, 주인공이 위기를 겪는 순간 소중한 사람이 대신 희생하고, 결국 주인공은 살아남는 스토리니 말이다. 하지만 그래서 더 설득력 있고 감동이 있는 게 아닐까. 개연성 없는 전개와 억지스러운 비극으로 몰아갔다면 오히려 외면당했을 것이다. 이야기가 단순하다고 해서 감동과 메시지가 없는 것이 아니다. 공허한 우주 공간에 홀로 남겨진 인간의 공포를 이 영화보다 생생하게 느끼게 해 준 영화는 아직 없었다. 무엇보다 이 영화에서 좋았던 것은 불필요한 대사가 많지 않았다는 것. 어떤 감독들은 종종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주인공의 대사에 일장연설로 녹이는 경우가 있다. 그 순간 영화가 지루해지고 산으로 가는 줄도 모르고 말이다. 적어도 <그래비티>는 말보다는 화면으로 설득하고 납득시키는 영화였다. 특히 마지막 장면이 그랬다. (스포주의) 귀환선을 타고 기적적으로 지구의 한 호수에 불시착한 라이언. 가까스로 수면으로 올라온 라이언이 슬픔과 환희가 공존하는 표정으로 몸을 일으키다가 중력 때문에 털썩 주저앉는다. 그리고는 다시 힘을 내 땅을 밟고 일어선 뒤 천천히 걸어 나가며 영화는 끝이 난다. 이때 진심 온몸에 전율이 느껴졌다. 군더더기 없이 사건을 끌고 나가는 연출. 관객의 눈높이를 한 단계 수직 상승시킨 영화 <그래비티>. 10년이 지난 지금 다시 보아도 경이로운 이유다.